제59회 영추포럼(140116) 후기: 오디오가이 대표 최정훈
강연 초반 그는 건축에 대한 관심을 표현했다. 지나가다가 처음 보는 성당을 보면 직접 들어가서 공간의 울림을 온몸으로 느껴보고 레코딩을 하기에 좋은 장소인지 판단한다고 했다. 이 지점에서 레코딩 엔지니어로서 최정훈 대표의 ‘방식’이 아닌 ‘관점’에 주목하게 되었다.
그는 스튜디오 녹음보다 건축 공간이 가진 ‘울림’에 집중한다. 각 각의 공간에는 각자의 울림이 있고, 좋은 공간이라고 체감되는 장소가 좋은 울림을 갖고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 공간 속에서 울리는 소리를 녹음하여 미디어로 전달할 때 진정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최정훈 대표는 믹싱은 최대한 배제하고 오히려 레코딩에 집중한다. 그의 표현을 빌리자면 ‘날 것’ 그대로를 듣는 이들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마이크와 음원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공간의 울림이 중요하고, 작은 음들이 울리는 소리에서 아름다움을 느끼며 자신의 작업에서 녹음되는 장소의 비중이 70~80%를 차지한다는 말에서 ‘공간의 울림’에 대한 그의 철학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최정훈 대표는 자신이 레코딩하는 과정에서 소리를 보기 위해 노력한다고 한다. 그는 공간 한가운데 서서 눈을 감고 소리가 울려 퍼지는 것을 상상하며 그 끝에 마이크를 두고 녹음을 한다. ‘소리를 본다’는 낭만적인 말을 온몸으로 실천하는 그는 건축하는 사람보다 더 공간이 가진 가능성을 발굴하려 하고 그것을 듣는 이들에게 전달하고자 노력한다.
강연이 끝나고 최정훈 대표가 들려주는 음악들 속에서 강연 내내 그가 이야기했던 공간의 울림을 느낄 수 있었다. 오랜 경험을 통해 다져진 그의 감각으로 녹음된 음악들 속에서, 그의 작업이 얼마나 정밀한 부분까지 담으려 했는지를 알 수 있었다. 스튜디오에서 믹싱된 소리가 아닌, 기둥, 벽, 천장에서 반사된 소리의 울림이 스피커를 통해 다른 공간으로 울려 퍼져 듣는 이들에게 그 공간을 상상하게 해주었다.
여기서 정확한 산술적 수치만이 정밀함과 연결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음악과 같이 정확한 수치가 대입되기 힘든 분야에서는 정밀함이 결과물과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과정에서 감각과 맞물려 풍성한 결과물을 낼 수 있는 자극제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금 더 좋은 소리를 찾기 위해 감각을 곤두세우고 그 감각은 미세한 소리까지 담음으로써 더욱더 풍성한 소리를 사람들에게 들려준다. 아이러니하게도 정밀과 정확이라는 주제가 지극히 주관적이고 모호한 개인적 ‘감각’과 맞닿아 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영추포럼이 끝나고 주말에 가끔 찾는 재즈 바를 찾게 되었다. 공연이 시작되고 맨 뒷좌석에 앉아 최정훈 대표 말대로 눈을 감고 소리를 보려 해보니 그동안은 느끼지 못했던 소리의 울림이 그 공간의 크기만큼 느껴지는 듯했다.
글 황두진건축 오명환 팀장
- 105 . 관리자
-
<지진과 건축> 특별 세미나(2017년 12월 5일 19:00)
2017 11 28
- 104 . 관리자
-
제83회 영추포럼 건축가 조성룡(2017년 11월 9일 19:00)
2017 11 07
- 103 . 관리자
-
제82회 영추포럼 건축 평론가/도서출판 마티 편집장 박정현(2017년 9월 14일...
2017 08 25
- 102 . 관리자
-
제81회 영추포럼 리슨투더시티 박은선 디렉터(2017년 7월 13일 19:00)
2017 07 04
- 101 . 관리자
-
2017 07 04
- 100 . 관리자
-
제80회 영추포럼 코어건축사사무소 유종수, 김빈, 정다은(2017년 5월 11일 ...
2017 04 19
- 99 . 관리자
-
2017 04 18
- 98 . 관리자
-
제79회 영추포럼 건축가 김성우(2017년 3월 9일 19:00)
2017 02 24
- 97 . 관리자
-
2017 02 24
- 96 . 황두진
-
2017 01 09
- 95 . 황두진
-
2017 01 06
- 94 . 관리자
-
제77회 영추포럼 김미라 작가(2016년 11월 10일 18:00-19:30 밤의...
2016 11 03
- 93 . 관리자
-
제76회 영추포럼(160908) 후기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김시덕 교수
2016 11 01
- 92 . 관리자
-
제76회 영추포럼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김시덕 교수(2016년 9월 8일 ...
2016 08 26
- 91 . 관리자
-
제75회 영추포럼(160715)후기: 씨네21 기자 김혜리
2016 08 26
- 90 . 관리자
-
제75회 영추포럼 씨네21 기자 김혜리(2016년 7월 15일 18:00-20:0...
2016 06 21
- 89 . 관리자
-
제74회 영추포럼(160512)후기: 건축사진작가 김용관
2016 06 21
- 88 . 관리자
-
제74회 영추포럼 건축 사진 작가 김용관(2016년 5월 12일 18:00-20:...
2016 04 21
- 87 . 관리자
-
제73회 영추포럼(160310)후기: 영화평론가, 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램 디렉터 ...
2016 04 19
- 86 . 관리자
-
제73회 영추포럼 영화평론가 김성욱(2016년 3월 10일 19:00-21:00 ...
2016 02 19
- 85 . 관리자
-
2016 02 17
- 84 . 관리자
-
제72회 영추포럼 건축가 황두진(2016년 1월 14일 19:00-21:00 밤의...
2015 12 18
- 83 . 관리자
-
2016 영추포럼 <우리들의 유토피아: 밤의 도서관>에 '관찰자'를 모십니다.
2015 12 15
- 82 . 관리자
-
제71회 영추포럼(151113)후기: 부시크래프트 캠퍼 최종석
2015 12 07
- 81 . 관리자
-
제71회 영추포럼 부시크래프트 캠퍼 최종석(2015년 11월 13일 19:00)
2015 10 19